전체 글 (2766) 썸네일형 리스트형 retraumatization : 심리극을 빙자한 학대와 고문 retraumatization(재외상화)가 우려되는 '심리극의 이름을 빌린 연극'을 목격할 때마다, '심리극을 빙자한 학대와 고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혼잣말 산책 - 2025년 3월 19일, 충주 중앙탑 사적공원 2025년 3월 19일, 충주 중앙탑 사적공원에서 혼잣말하면서 산책함. 마침 경북 경산에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이 있어서, 집과 경산 중간에 있는 수안보에서 2박 3일 머물면서 온천욕도 하고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 좋았다. 어제는 폭설이 내렸는데, 오늘은 눈이 많이 녹아서 산책하기 좋았다. 중앙탑 사적공원을 상징하는 석탑은 국보 6호 충주탑평리 7층 석탑이고, 신라시대 원성왕이 국토 중앙을 표시하기 위해 세운 탑이라는 전설이 있다고 했다. 그래서 이 지역이 '중앙탑면'인가 보다... 중앙탑사적공원 바로 옆에 있는 남한강변을 걸으면서, 드라마 빈센조를 촬영한 곳이라는 것을 알았고, 조정경기장 겸 연습장이라는 것도 알았다. 산책하면서,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사소한 드라마'를 진행.. '사이코드라마'라는 제목의 단편영화 소개 '사이코드라마’라는 제목의 단편영화 두 편을 소개하고, 이드치연구소 지경주의 생각을 공유합니다. 영화 '싸이코 드라마'는 2019년 작품이고 상영시간은 약 33분입니다. 퍼플레이에서 유료 감상 가능합니다. 영화 '사이코드라마'는 2000년 작품이고 상영시간은 약 23분입니다. 영화배우 이선균님의 첫 영화 출연작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영상자료원에 예약 방문하여 무료로 감상하는 방법과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홈페이지, 아카이브 보라에서 dvd를 구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제가 만약 심리극 자문을 했다면 어땠을지 생각해보았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두 영화에 대한 이드치연구소 지경주의 생각과 의견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인공의 생각(망상) 존중하기 어느 병원에서 진행한 심리극 사례를 공유합니다. 저는 심리극을 진행하면서, 주인공의 이야기를 비심판적인 태도로 경청하려 노력했습니다. 저는 주인공이 말하는 내용을 함부로 평가하지 않았고, 주인공의 이야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잘 들을 수 있었으며, 주인공과 의논하면서 심리극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주인공은 '나의 생각'과 '주위 사람들의 생각'을 안전하게 설명하고 표현해보고 다루어볼 수 있었고, 망상과 관련된 복잡한 생각을 정리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심리극을 이해하면 더 흥미로운 영화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는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2019년 작품이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브래드 피트, 마고 로비의 출연작입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릭 달튼이라는 영화배우를 연기했고, 브래드 피트는 클리프 부스라는 릭 달튼의 대역배우 겸 동료를 연기했으며, 마고 로비는 새런 테이트라는 영화배우를 연기했습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모르겠으나, 이 영화의 소재가 되는 테이트 라 비안카(Tate LaBianca) 사건이 엘에이에서 일어난 지 50년 되는 해에 영화가 제작되었습니다. 저는 이 영화가 테이트 라 비안카 사건을 어떻게 다룰지 궁금했습니다. 영화를 감상한 뒤, 저는 이 영화의 작가와 감독을 맡은 쿠엔틴 타란티노가 매우 고마웠습니다. 쿠엔틴 타란티노는 한 여성을 향한 잉여현실을 .. 차한잔과 함께 하는 북한산 풍경 차한잔과 함께 하는 북한산 풍경을 공유합니다. 이드치연구소에서 바라본 북한산 풍경이고, 15~30분 정도 분량의 영상입니다. 다양한 북한산의 풍경을 보실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차한잔과 함께 하는 북한산 풍경 모음 '더 클래시컬 사이코드라마 오브 모레노' 그리고 러브백 2021년 3월 1일, 'The Classical Psychodrama of Moreno 그리고 러브백'이라는 주제로, 모레노의 고전적 사이코드라마를 다룬 마샤 카프의 글을 소개하고 지경주의 생각을 공유합니다. 마샤 카프는 영국의 심리극 전문가이고, 우리나라에 출판된 '심리극의 세계'라는 번역서의 공저자 중 한 명으로 알려졌습니다.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심리극의 요소, 심리극 진행단계, 심리극 진행자의 자세, 자발성과 창조성을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의미 있었습니다. 그리고 '러브백'을 알게 되어 기뻤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The Classical Psychodrama of Moreno의 주요 내용, 행위와 러브백에 대한 이드치연구소 지경주의 설명과 의견을 조금 더 참고하실 수 있습.. 진행자가 주인공 겸하기 최근 어느 병원에서 진행한 심리극 사례를 공유합니다. 주인공 지원자가 없어서 '상황극'을 진행하기로 했고, 이번에는 진행자인 제가 직접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예전에 어르신 대상의 드라마치료를 진행하면서, 마당놀이를 접목한 독특한 진행을 시도한 경험 덕분에, 어렵지 않게 '진행자가 주인공을 겸한 심리극' 진행이 가능했습니다. 이번 심리극 진행은 병원의 특성과 집단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진행된 지경주식 심리극의 예가 될 것 같습니다. 그동안 이곳에서 진행했던 심리극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진행자가 주인공을 겸해서 진행한 심리극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관객들을 촉진하고 독려하기 수월했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심리극 진행 과정, 병원 심리극의 한계와 절충, 관객이 연극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감감을 보이는 이유, 어.. 이전 1 2 3 4 ··· 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