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치료

(206)
고립운둔청년 심리극을 앞두고 2025년 5월 26일 오후,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에서 고립운둔청년 심리극을 앞두고 찍은 사진.보조강사로 함께 해주신 김기양선생님, 맹훈영선생님, 오재혁선생님 감사합니다.
고립은둔청년 대상 심리극 소식 2025년 5월 12일,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행한 고립은둔청년 대상 심리극 소식을 공유합니다. 첨부한 사진과 아래 글은 링크한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립가구지원팀입니다. 우리 복지관은 서울시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들의 안정적인 사회진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5/12(월) 성북센터 청년들과 관계형성 프로그램 2회기 심리극을 진행하였습니다. 심리극이란? 마치 희곡을 연극으로 만들듯, 삶의 문제를 극의 형태로 무대에 올려 안전하게 삶을 훈련하는 방법입니다. 일상에서 쉽게 하지 못했던 행위충족을 경험하고, 내가 주인공이 되는 상상, 행위충족을 통한 성취감 경험 등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 1회기로 역할수행과 심리극 기법을 연습하면서, 주인공이 다루기 원하는 ..
주인공의 생각(망상) 존중하기 어느 병원에서 진행한 심리극 사례를 공유합니다. 저는 심리극을 진행하면서, 주인공의 이야기를 비심판적인 태도로 경청하려 노력했습니다. 저는 주인공이 말하는 내용을 함부로 평가하지 않았고, 주인공의 이야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잘 들을 수 있었으며, 주인공과 의논하면서 심리극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주인공은 '나의 생각'과 '주위 사람들의 생각'을 안전하게 설명하고 표현해보고 다루어볼 수 있었고, 망상과 관련된 복잡한 생각을 정리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진행자가 주인공 겸하기 최근 어느 병원에서 진행한 심리극 사례를 공유합니다. 주인공 지원자가 없어서 '상황극'을 진행하기로 했고, 이번에는 진행자인 제가 직접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예전에 어르신 대상의 드라마치료를 진행하면서, 마당놀이를 접목한 독특한 진행을 시도한 경험 덕분에, 어렵지 않게 '진행자가 주인공을 겸한 심리극' 진행이 가능했습니다. 이번 심리극 진행은 병원의 특성과 집단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진행된 지경주식 심리극의 예가 될 것 같습니다. 그동안 이곳에서 진행했던 심리극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진행자가 주인공을 겸해서 진행한 심리극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관객들을 촉진하고 독려하기 수월했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심리극 진행 과정, 병원 심리극의 한계와 절충, 관객이 연극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감감을 보이는 이유, 어..
애란원 심리극 평가 모임 2020년 7월 8일, 애란원 심리극 평가 모임을 오가면서 영상기록을 남겨보았습니다. 귀한 만남의 기회주신 애란원 관계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이드치연구소 유튜브 채널로 연결됩니다.
죄책감 - 알코올 심리극 사례 2019년 11월 16일에 녹음한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제70회 방송 내용 중 '죄책감'을 소개합니다. 음주 문제로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에 입원한 환자 대상의 심리극 사례입니다. https://youtu.be/Wy3XrKbVSGw
배영민 선생님 고맙습니다! 2019년 7월 7일 일요일. 사진은 한국임상예술학회에서 계요병원 배영민선생님이 발표한 내용. 자기가 고안한 기법이라면서, 내 앞에서 엉터리로 지경주식 역할극을 진행하던 어느 전문가의 모습이 갑자기 떠오른다. 배영민선생님 고맙습니다. 영광입니다. 아래는 배영민선생님의 발표 당시 지인들이 보내준 사진.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초급교육 안내 진혜전 선생님의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초급교육을 소개합니다. 사이코드라마(Psychodrama)는 집단원들의 신뢰감을 바탕으로 마음잇기(warming up), 마음풀기(acting out), 마음나누기(sharing)를 통해 인간관계 갈등해결, 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 창의적 역량과 심리정서의 회복을 돕는 행위중심 심리치료 과정입니다. 내담자가 상처와 위기를 극복하고 자기마음의 주인이 되는 길을 안내하는 사이코드라마와 역할놀이 상담사는 교육, 복지, 의료, 상담, 문화, 예술 등 어디에서나 적용 가능합니다. 1. 일 정: 1차 – 6월28(금), 29(토) 오전10시-저녁10 / 2차 – 7월12(금), 13(토) 오전10시-저녁10시(총 48시간) 2. 장 소: 서울특별시 마포구독막로3길 13 지하1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