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드치연구소 (304) 썸네일형 리스트형 '더 클래시컬 사이코드라마 오브 모레노' 그리고 러브백 2021년 3월 1일, 'The Classical Psychodrama of Moreno 그리고 러브백'이라는 주제로, 모레노의 고전적 사이코드라마를 다룬 마샤 카프의 글을 소개하고 지경주의 생각을 공유합니다. 마샤 카프는 영국의 심리극 전문가이고, 우리나라에 출판된 '심리극의 세계'라는 번역서의 공저자 중 한 명으로 알려졌습니다.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심리극의 요소, 심리극 진행단계, 심리극 진행자의 자세, 자발성과 창조성을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의미 있었습니다. 그리고 '러브백'을 알게 되어 기뻤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The Classical Psychodrama of Moreno의 주요 내용, 행위와 러브백에 대한 이드치연구소 지경주의 설명과 의견을 조금 더 참고하실 수 있습.. 잡지 멜랑콜리아 인터뷰 2020년 12월 5일, 잡지 멜랑콜리아 편집장님을 만나 인터뷰했고, 12월이 가기 전에 멜랑콜리아 3호 받음. 편집장님을 만나 인터뷰할 수 있어 감사하고 영광입니다!! 아래 그림을 클릭하시면, 인터뷰 추가 내용과 연결됩니다. 코로나19와 사회적 트라우마, 심리적 방역이 필요하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발행하는 '과학과 기술' 2020년 5월호에 실린 이드치연구소 지경주의 글을 공유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제 일상을 중심으로 써보았고, 원고 원본을 낭독했습니다. https://youtu.be/yObr0fayt28 감정소진예방을 위한 혼글역할극 안내 원래는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소진예방을 위한 역할극을 준비했다가, 코로나19로 인해 글쓰기를 통한 온라인 강의로 소진예방을 위한 역할극을 준비함. 혼글역할극(혼자 글쓰기로 연습하는, 혼자 글로 써보는 역할극)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되기를! (그림을 클릭하시면 휴먼임팩트 협동조합으로 연결됩니다!) 함께 만드는 안전한 심리극 이드치연구소 지경주가 생각하는 '안전한 심리극'을 설명하기 위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사이코드라마 이론서(1988년 출판) '싸이코드라마' 서문 일부를 소개했습니다. 그리고 심리극의 요소인 주인공(protagonist), 관객(audience), 보조자아들(보조자들 auxiliaries), 진행자(director), 무대(stage)와 안전한 심리극의 관계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습니다. 이드치연구소에서 제작한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이드치연구소는 이야기&드라마치료 연구소의 줄임말로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지경주가 개소한 1인 연구소 입니다. 유튜브, 팟케스트, 팟빵, 인터넷 서점에서 이드치연구소를 검색해주세요. https://youtu.be/otEzXVPfaXk 심리극의 요소와 안전하지 못한 심리극 이번에도 거실에서 바라본 북한산 풍경을 배경으로 영상을 만들어보았습니다. 모레노는 심리극의 요소 다섯가지로 주인공(protagonist), 관객(audience), 보조자아들(보조자들 auxiliaries), 진행자(director), 무대(stage)를 제시했습니다. 이드치연구소 지경주는 1991년부터 지금까지, 심리극에서 진행자 역할을 제일 많이 경험했고, 보조자아를 두번째로 많이 경험했습니다. 그 다음 세번째로 많이 경험한 관객은 앞서 두 가지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경험했고, 주인공 경험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었습니다. 심리극의 요소 다섯가지 중에서 인적요소에 해당되는 네 가지에 맞춰, 이드치연구소 지경주가 직접 경험했던 '안전하지 못한 심리극 사례'를 공유합니다. https://youtu.be.. '싸이코드라마 당신'을 아시나요? - 제9화 별의 두 얼굴 (사진을 클릭하면 연결됩니다. 그리고 플레이어 하단에서 자막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싸이코드라마 당신’은 1984년부터 1986년까지 MBC에서 방송되었고, 대한민국에서 공중파를 통해 최초로 대중에게 소개된 사이코드라마라고 생각합니다. 제 인생에 많은 영향을 준 TV 드라마입니다. 싸이코드라마 당신 제9화 '별의 두 얼굴' 주인공은 해리장애가 관찰되는 젊은 여성입니다. 싸이코드라마 당신 제9화 '별의 두 얼굴'에 나오는 사이코드라마를 소개하고, 사이코드라마 장면과 관련된 이론(카타르시스)과 지경주의 의견을 공유합니다. 이번에는 사회복지사가 등장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1980년대 중반 TV드라마에서는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어떻게 묘사하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대본 읽기를 위해,.. 고집불통 사이코드라마 디렉터와 반면교사 2017년 7월 16일에 녹음한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제33회 방송에 수록된 '1993년, 그리고 어느 디렉터의 추억'을 공유합니다. 지경주가 목격한 '1993년 대한민국 최고의 심리극 디렉터'를 소개합니다. 그리고 그를 통해 배운 것들을 공유합니다. 이 영상은 음성, 자막 위주로 진행됩니다. 이드치연구소에서 제작한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이드치연구소는 이야기&드라마치료 연구소의 줄임말로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지경주가 개소한 1인 연구소 입니다. 유튜브, 팟케스트, 팟빵, 인터넷 서점에서 이드치연구소를 검색해주세요. 아래 그림을 클릭하시면 관련 영상으로 연결됩니다. 이전 1 2 3 4 ··· 3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