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드치

가르침으로 마무리 하면 정통심리극인가? "본극 상연이 끝나면 연출자는 격려나 주인공의 문제에 대한 지적인 분석보다는 극과 관련지어 자신의 느낌을 주인공과 나눌 수 있도록 집단원들을 격려해야 한다." - 아담 블레트너 - 이것이 바로 아담 블레트너가 언급한 전형적인 심리극 마무리입니다. 심리극을 마무리 하면서 연출가가 주인공에게 가르침을 주는 것이 전형적인 심리극이고 정통 심리극인가요? 이드치연구소는 정통 심리극과 거리가 멉니다. 자신이 진행하는 심리극에 이름을 붙입시다! 예) 지경주식 심리극 더보기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제18회 방송 심리극을 진행하다 보면, 과거의 자신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도 생기고, 자신의 스트레스 원인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도 생깁니다.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제18회 방송을 소개합니다. 더보기
아돌프 히틀러의 사이코드라마 심리극의 창시자 모레노가 발표했던 '아돌프 히틀러의 사이코드라마'를 소개합니다.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제13회 방송을 청취해주세요. http://www.podbbang.com/ch/12050?e=22080631 더보기
눈물, 분노, 카타르시스 눈물과 분노만이 카타르시스의 전부는 아니다. 더보기
내담자를 상처 받게 하지 말라 어느 사이코드라마 디렉터에게 보내는 티안 데이튼의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