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극

어느 사이코드라마 전문가에게 - 바타카 이 글이 해당 사이코드라마 전문가에게 전달되기를 기원합니다. * * * * * * * * * * 어느 사이코드라마 전문가께 보내는 글. 저는 이야기&드라마치료 연구소를 운영하는 지경주입니다. 현재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서 심리극을 진행하고 계신 어느 사이코드라마 전문가에게 문의드립니다. 저는 선생님께서 심리극을 진행할 때마다, ‘바타카’라는 신문지로 만든 몽둥이를 매번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주인공의 특정 감정을 끌어내기 위한 소품활용은 디렉터의 권한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정신보건전문요원으로서,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심리극에서, 바타카라는 소품이 매번 활용되는 것이 마음에 걸립니다. 바타카를 의자바닥에 힘껏 내리치면서 발생하는 엄청난 소리는 누군가에게 '원치않는 소음'이 될 수 있음을 알고 계신지.. 더보기
국립서울병원 심리극, 기다림 2016년 2월 5일의 기록. 국립서울병원에서 심리극을 진행한지 두달째가 되었다. 다수가 침묵한 상태에서, 어떤 이는 TV에 나오는 사람처럼 무대 위에 올라가 화내고 소리지르고 울고 싶지 않다고 했다. 어떤 이는 할말이 없다고 했다. 어떤 이는 무대 위에 올라가기 싫다고 했다. 어떤 이는 제발 좀 시키지 말라고 했다. 나는 말했다. "이번 심리극은 제가 주인공이 되고 싶습니다. 여러분이 저를 도와주세요." 나는 주인공이 되어, 관객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제의했고, 모든 관객들과 최소 한번 짧게라도 서로 마주보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덕분에 담배를 소재로 이야기 할 수 있게 해준다면 주인공이 될 의사가 있다고 말한 분도 있었고, 관객역할만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지 문의도 받았고, 지금처럼 편안한 분위기.. 더보기
강서필병원 심리극 2018년 2월 1일에 진행했던 강서필병원 심리극을 회상해본다. 자발적으로 나온 주인공은 ‘사람복’이 없다고 했다. 평생 살면서 친구가 없었고, 가족들도 자신을 싫어한다고 했다. 그리고 현재 입원중인 병동에서도 사람들이 자기를 괴롭힌다고 했다. 주인공이 무대로 나올 때 주인공을 째려보는 눈빛들이 느껴졌고, 주인공이 무대 위에서 하소연할 때마다 관객들의 부정적인 반응이 감지되었다. 주인공은 평소 따돌림의 대상이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곳 심리극 무대에서도 따돌림 당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주인공을 무대에서 조금 떨어져서 연극을 지켜보도록 했다. 그리고 관객들의 도움을 받아 주인공 대역과 주인공을 괴롭히는 주변 인물들을 설정한 뒤, 주인공이 괴롭힘 당하는 장면을 재연해보았다. 주인공은 나의 진행.. 더보기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8회 방송 2016년 9월 한달동안 팟캐스트 다운로드가 700회를 넘었습니다. 이드치연구소장의 경험과 생각을 정리하고, 연구소 활동가들과 정보공유를 위해 만들었기에, 다운로드가 많을 줄 몰랐습니다. 팟캐스트를 청취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앞으로 보다 유익한 정보공유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심리극을 진행하는 이드치연구소장에게 보조자아는 ‘주인공의 심리극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소중한 인적자원’입니다.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8회 방송에는 '심리극 보조자아의 자기노출'을 주제로 이드치연구소장의 경험과 생각을 소개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이드치연구소 - 8회' 방송을 선택해주세요. * 팟캐스트 http://www.podbbang.com/ch/12050 * 홈페이지 http://idchi.or.kr 더보기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여섯번째 방송 이드치연구소장은 눈물과 분노만이 카타르시스의 전부가 아니라 생각하고, 심리극만이 강력한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라 생각하며, 심리극과 신파극은 구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팟캐스트 이드치연구소 6회 방송에서는 '카타르시스'를 주제로, 다양한 관점의 카타르시스의 정의와 유형을 소개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이드치연구소 - 6회' 방송을 선택해주세요. * 팟캐스트 http://www.podbbang.com/ch/12050 * 모임안내 http://idchi.or.kr/moim-201609-1.htm * 홈페이지 http://idchi.or.k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