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극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6년 1월 27일 일정 2016년 1월 27일의 일정을 정리하며. 늘 소감을 나눌 때마다 두서없이 아무말이나 막 한 것 같고 심리극 시간을 방해한 것 같다고 말하는 분이 계신다. 안전한 연극이기에 안전하게 연극경험했음을 계속 언급해드리면서 인식하도록 해야겠다. 올해부터 유료화 정책으로 인해 낮병원 회원이 줄었고, 점심식사 때가 되면 귀가하는 회원이 많아서 오후 심리극 참여가 더 줄어든 것 같다. 하지만 꾸준히 잘 참석해주신 회원들은 연극적인 방법에 서서히 익숙해지는 것 같다. 평소 말없던 분이 연기해서 놀랍고, 무슨 말을 해야할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한 분이 재치있게 대사해서 놀랍고, 무표정 상태를 유지하는 분이 갑자기 웃음 띤 얼굴로 연기해서 놀랍다는 소감을 들으며, 이 놀라움이 익숙해질 때 쯤이면 연기력은 어느새 자연스러운 .. 더보기 심리극 보조자아의 부정적인 감정 조율하기 나는 지금 심리극 무대 위에 서있고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여있다. 내가 주인공이라면 심리극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어줄 수 있지만, 지금 나는 주인공의 심리극 진행을 돕는 보조자아로 서있다... 심리극 보조자아가 무대 위에서 '부정적인 감정이 노출될 것 같은 느낌'이 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우선 결정해야 할 것은, 지금 이 순간 '심리극에 동참 가능한지'를 점검해보고 '1) 무대 위에 머물기, 2) 무대 밑에 머물기, 3) 무대에서 벗어나기'에 대한 판단이 필요할 것 같다. 만약 무대 위에 머물기로 결정했다면, 부정적인 감정을 얼마나 잘 조율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보인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방법은 '부정적인 감정'을 진행 중인 심리극에 적절하게 반영하여, '역동적인 극 분위기를 조성하기.. 더보기 국립서울병원 심리극 진행한지 두달째 국립서울병원에서 심리극을 진행한지 두달째가 되었다. 다수가 침묵한 상태에서, 어떤 이는 TV에 나오는 사람처럼 무대 위에 올라가 화내고 소리지르고 울고 싶지 않다고 했다. 어떤 이는 할말이 없다고 했다. 어떤 이는 무대 위에 올라가기 싫다고 했다. 어떤 이는 제발 좀 시키지 말라고 했다. 나는 말했다. "이번 심리극은 제가 주인공이 되고 싶습니다. 여러분이 저를 도와주세요." 나는 주인공이 되어, 관객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제의했고, 모든 관객들과 최소 한번 짧게라도 서로 마주보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덕분에 담배를 소재로 이야기 할 수 있게 해준다면 주인공이 될 의사가 있다고 말한 분도 있었고, 관객역할만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지 문의도 받았고, 지금처럼 편안한 분위기라면 좋겠다는 의견도 들었고, .. 더보기 2016년 1월 이드치연구소 글모음 2016년부터는 온라인에서도 연구소장과 연구원들이 지속적으로 서로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를 갖기로 했습니다. 그 첫 시도가 바로 글모음의 온라인 공개를 통해 각자의 생각을 공개적으로 공유하는 것입니다. 2016년 1월은 글을 통한 첫 공유이기에, 연구소장의 글 위주로 올립니다. 글모음에 수록된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에게 있습니다. 만약 글모음에 실린 글을 공식적으로 인용하실 경우, 출처와 저자를 명기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야기&드라마치료연구소 글모음 안내 E, 드, 치 권명숙 드라마만들기를 통한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HORA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 워킹쓰루와 사이코드라마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드치연구소 2016년 1월 글모음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http://idchi.or.kr/ess.. 더보기 2016년 1월 23일 이드치연구소 모임 2016년 1월 23일, 강서필병원에서 이드치연구원 모임이 있었습니다. 반구조화시연기법에 대한 실습과 적용사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고, 연극과 심리극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으며, 이드치연구소장이 삼개월동안 준비했던 소시오드라마 공연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모임은 2월 둘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시작될 예정입니다. 함께 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더보기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6 다음